박근혜 정부, 왜 경남기업을 지목했나?
자원외교 비리 수사가 본격화된 것은 지난달 이완구 총리 취임 후였습니다. 이완구 총리는 대국민 담화를 토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발본색원하여 해외 자원 개발 관련 비리를 뿌리 뽑겠다고 했는데요.
그래서 그 다음날 13일 검찰이 포스코 건설을 압수수색했고, 그 다음주엔 자원외교 비리에 연루된 의혹을 받은 경남 기업을 수색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수사가 경남기업으로 이어진 데에는 성완종 회장이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에 참여했던 경력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지난 달 18일 검찰은 경남기업을 '자원외교 비리'와 관련해 압수수색하였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 성완종 회장이 2006년~2013년 회사 재정상태를 속인 뒤 받아낸 정부융자금과 금융권 대출 800억여원 중 250억원 가량의 회삿돈을 관계사를 통해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고 합니다. 또한 경남기업은 2013년 4대강 담합 징계로 관급공사 입찰 제한에 묶이면서 휘청거리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경남기업은 2006년부터 러시아 캄차카 서규 광구 탐사를 포함해 멕시코와 아제르바이잔 등에서 자원 개발을 하겠다며, 정부로부터 성공불융자금 330억원을 받았습니다. 성공불융자는 사업에 성공하면 원리금에 특별부담금 20%를 더 내야 하지만, 실패하면 융자금 전액을 감면 받습니다. 그러나 경남기업은 그 어떤 자원 개발 사업에서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리하여 정부 융자금 330억원 또한 고스란히 사라졌구요. 이 성공불융자금 비리 의혹 때문에 시작된 검찰 수사는 결국 점차 성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확산되어 가는 시점이었습니다. 자본잠식에 빠진 경남기업에 대해 채권단은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했고 결국 경남기업은 현재 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그렇게 의혹 수사가 번지는 가운데 비통한 일이 생기고 말았습니다.
성 전 회장은 9일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북한산의 한 나무에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된 것입니다. 그는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었습니다. 서울중앙지검은 사망한 성 회장에 대해 공수권 없음 처분을 내리고 경남기업 수사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자살 하루 전 기자회견을 통해 MB정부의 피해자라며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 그가 생전 경향신문에 직접 전화를 걸어
현 정부의 실세들에게 전해준 정치자금들에 관련해 자세히 시간과 장소를 거론하며 폭로했습니다. 과거에 이례가 없던 정치 스캔들임엔 틀림없는데요. 이 수사는 오히려 MB계열의 인사들을 겨냥해 기강을 잡으려했던 박근혜 정부에게 부메랑이 되어 현정부를 겨냥하게 되어버렸습니다. 성회장이 거론한 명단의 인물들은 하나같이 그 사실을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그러나 국민적 관심이 워낙 높고 의혹이 양상되고 있는 지금 실정에서 검찰도 묵과할 수 없겠죠. 자원외교 비리를 파헤치겠다며 당당히 선언했던 박근혜 정부. 단순히 기강을 잡고 지지율 올리기 효과를 노렸다면...지금의 부메랑 파장은 그들 정부 스스로 에게 몇 십배의 타격으로 돌아오고야 말았군요.
앞으로의 검찰 수사가 어떤 방향을 잡아갈지 사뭇 궁금해지는 지점입니다.
'이슈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대통령 싸이가, 문화의 공간을 위협? (0) | 2015.05.15 |
---|---|
YG엔터테인먼트, 과연 튼튼한 회사? 앞으로의 가능성은? (0) | 2015.04.12 |
[나의 숙제] 할 얘기 많아지는 '블로그'만들기 (0) | 2015.04.09 |
가족은 추억이 중요하구나 - 아빠를 부탁해 (0) | 2015.04.06 |
[무상급식 관련] 손석희, 홍준표 인터뷰 영상 (0) | 201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