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건강

[문화소비의 패러다임이 바뀌고있다] 이효리와 곽진언을 보면서

by 비오는날비맞기 2014. 11. 22.
반응형

 

[문화소비의 패러다임이 바뀌고있다] 이효리와 곽진언을 보면서

 

 

 

 

 

 

곽진언으로부터 촉발될 대중음악 패러다임의 변화 ㅣ 어제 엠넷의 슈퍼스타K 시즌6에서 '곽진언(23)'이 우승하는 것을 보면서 많은 생각이 스쳐갔다. 아, 우리에게도 충분히 좋은 귀를 가진 많은 이들이 이미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온 것이었구나. 한국사람들도 이런 목소리, 이런 음악을 고대하고 있었던 거구나, 하며 아주 오랜만에 공동체(?)의식 같은 것을 느꼈다.

 

 2000년대로 넘어오며 근 십년 가까이 나는 대중가요다운 가요를 접하지 못했었다. 대형기획사에서 상품형 아이돌 그룹을 찍어내듯 만들어낸지 오래다. 중간에 '나는 가수다(MBC)'와 같은 굵직한 경연의 포멧을 가졌던 음악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초기에 가수가 전하는 감동에 집중되었던 것이 회차를 거듭하며 경연에 유리한 공연적 연출에 치중되면서 점차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갔었다. 초기 나가수에서 불렸던 음원들이 큰 이목을 집중시키고 많은 명곡들이 재조명되었지만 비슷한 양상의 공연과 기획이 거듭되면서 묘기와도 같았던 가수들의 가창력에 모두들 질려했고 떨어진 기획적 참신함과 긴장감은 다시 불씨를 살리기엔 많은 이들이 이미 흥미를 잃은 뒤라 역부족이었다.

 

 

 

 

 

 

 어쩌면 그런 과정들이 우리들이 진짜 원하는 휴식이 뭔지를, 진정으로 원하는 문화가 뭔지를 알기 위해 했던 실험들의 결과였을지 모른단 생각이 든다. 어제 곽진언을 보면서 그저 외면했을 줄 알았던 우리 마음의 작은 행복들에 모두가 잃지 않기를 바랬다는 걸 알았다. 지금까진 외면했을지라도 이젠 찾고싶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물이라 생각되기도 했다.

 

 

 

 

 

요즘 이효리가 만들어낸 평범함 속의 럭셔리ㅣ퍼진 파자마를 입고 밭에 나가 콩을 키운다. 자란 콩을 거둬 직접 시장에 자판을 깔고 팔기도 한다.  제주도 소길마을에 살아 ‘소길댁’이라 불리는 이효리는 무대 밖에서는 여유로운 모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효리의 평범한 전원생활을 보기 위해 하루에 평균 10만명의 네티즌이 그녀의 블로그를 찾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소길마을로 이사가고 싶어 부동산 가격을 알아보는 사람들로 그곳이 붐빈다고 하니 네티즌들의 관심은 실로 놀랍다.

 

 

 

 

 

 이렇게 이효리의 농촌 생활에 대해 사람들이 부쩍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지 섹시아이콘이었던 이효리의 반전매력 때문일까. 그건 아닌 것 같다. 사회인식 변화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소비의 가치를 높이는 힘이 값비싼 물건에서 편안한 시간과 행복한 경험으로 바뀌고 있다. ‘여유’가 새로운 가치 소비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평범한 여유를 갖는 일은 어려운 일이 되어버렸다. 어쩌면 도시인에게 농작물을 재배하고 텃밭을 가꾸는 건 사치가 되어버렸으니 말이다. 사람들은 이제 돈을 들여서라도 여유를 사고싶다. 이효리의 행보는 그래서 많은 이들로 하여금 부러움을 사고 있는 것이다. 서울 생활에서 벗어나 아무 연고도 없는 제주도로 옮겨 제 2의 여유로운 삶을 꾸려가는 이효리를 보며 우리 모두는 행복의 기준이 무엇인지, 그게 먼 미래가 아닌 바로 가까운 현재로 만들고 싶다는 욕구에 대해 확인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제 우리는 값비싼 물건을 사는데에서 소비의 만족을 찾지 못하게 됐다. 그리고 물론 명품을 구매하면서 사람들과 경쟁하고 싶어했던 욕구도 없다. 우리는 편안하고 평범하며 자연 속에서 여유를 누리는 일에 기꺼이 그 가치를 소비하고 싶어한다. 이런 물결이 비주류의 저음 보컬 '곽진언'을 만들어냈고 '소길댁 이효리'를 만들어냈다. 음악으로 이제 위로받고 치유받고 싶다고 많은 이들이 말하는 것 같다. 그리고 제주도가 아니더라도 흙냄새와 사람냄새 풍기는 전원 생활을 위해서라면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을 다 투자하고 싶어한다. 이제 이런 시작이 커다랗게는 상업적으로만 흘렀던 문화 패턴을 바꿔나갈 것이고 편안 삶을 추구하기 위해 주거형태나 여가 소비 형태 또한 크게 변화될 것임이 분명해 보인다.

 

 

 



ⓒ 블로그아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