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건강

세월호의 생존자는 대한민국 국민 전체다

by 비오는날비맞기 2014. 4. 25.
반응형

 

세월호의 생존자는 대한민국 국민 전체다

 

세월호의 생존자ㅣ 세월호 참사에 남겨진 생존자는 배를 탔다 구조된 구조자 뿐만이 아니다. 이 나라 국민 전체다.

 

해외 신문사들은 일제히 보도했다. 무능력한 정부 대응과 도저히 상황에 맞지 않는  늑장 구조와 안일하게 쏟아져 나오는 관료들의 브리핑들, 그리고 재난컨트롤타워는 청와대가 아니었다는 발표에 대한 보도였다. 얼굴이 화끈거렸다. 그러나 그렇게 창피해 할 시간도 없이 생존자 보도는 나오지 않았고, 실종자 가족의 오열, 실신 모습을 내보내는 지상파에 이내 치가 떨렸다. 수많은 감정들이 교차했고 그렇게 나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무언가를 적는다. 아니 적어야 하겠다. 대한민국은 어디 있는가. 그리고 내가 배워 온 국가의 역할이 고작 이따위였단 말인가. 험한 말이 자꾸 나온다. 그러나 나는 이 나라 국민이고 시민이다. 이 사실만이 남아있다. 우리는 대한민국 국민이고, 우리가 만든 정부는 우리에게 자꾸 등을 보인다. 아이들이 희생됐다. 우리 모두는 이제 이 말도 안되는 참사에 살아 남은 반대 편 구조자이며 생존자가 되어버렸다. 대한민국의 국민은 이제 국민이 아니다. 이런 참사를 뒤로 하고 남은 생을 살아야하는 생존자일 뿐이다.

 

 

사진: Thumbs, 포토그래퍼: Julia Fullerton Batten

 

확인 중이다, 문책하고 수사하라, 재난컨트롤타워가 아니다, 총력을 기울이겠다, 구조 환경이 악조건이다, 고려해보겠다, 진정하시라, 확인된 바 없다, 투입이 어렵다, 곧 준비하겠다

 

뭐가 그렇게도 안되는 게 많고, 확인을 거쳐야 되는 사항이 많은가. 전 국민이 정부의 구조를 뜬 눈으로 기다리고 있을 때 청와대나 정부기관에서 내놓는 말들이다. 초등학생들도 이런 상황에선 쓰지 않을 말들이다. 누가 누구를 수사하고 책임을 묻는다는 건지 도대체 알 수 없다. 정부의 최대 책임자가 어느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 중책을 가한다는 건지, 다시 반문해보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도대체 어떤 정부를 만들어온 것인가. 그렇다면 정부를 믿고 일을 맡겨 온 국민 책임이다. 안일한 정부를 못 알아보고 지금껏 믿고 세금을 내온 국민의 책임이라는 거다.  일하라고 만들어 논 국민의 정부가 일이 일어나니 그 일은 누구의 일이다 아니다를 논한다. 그리고 황급히 기자회견을 연다. 자기들에겐 확인된 바 없다, 총 책임은 이곳이 아니라 다른 곳이다라며 책임을 회피한다. 불 난데에 기름을 붓는다. 잔인한 처사이다. 생존자의 소식이 없다. 배가 그나마 벌어준 시간은 사라졌다. 배의 모습과 하께 같이. 그리고 나는 사고 당일 투입 잠수부가 182명 중 16명에 불과했다는 '뉴스타파' 보도를 보고야 말았다.

 

이렇게 대한민국은 멈췄는데, 청와대와 정부의 시계는 잘도 돈다. 모든 다른 외교 업무는 뒤로 하고 생존자 구조에 주력해도 모자랄 이 시국에, 정부의 시계는 여전히 품위를 지키고 있으며 북한에까지 그 안테나가 뻗친다. 이 와중에 말이다.

 

난 이제 북한이 두렵지 않다. 생존자를 목 빠지게 기다리는 실종자 부모들의 마음에 못을 수차례 박고도 모자라 작업에 혼란이 가중된다는 이유로 민간 잠수 업체의 구조를 포기하는 정부의 행태가 나를 더 두렵게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본 국민들의 침묵을 다시 등에 업고 이 나라를 대표하려는 나랏님들이 더더욱 두렵다.

 

종편체널의 뉴스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저하를 걱정하며 일시적 현상이라며 서로를 다독인다. 참담하다.

 

우리는 아마도 이 끔찍한 서로의 본 모습을 떨쳐내지 못할 것이다. 지우려하겠지만 작게든 크게든 재현될 위험이 농후한 현실이다.  많은 논설에서도 우리가 읽을 수 있듯 글쓴 이들은 이 일을 비유로 하여 반복되던 관료사회의 문제점을 쉴새 없이 지적한다. 그리고 이번 일이 침묵 속에서 사그러지면 선거가 치뤄질 것이고 그 선거에서 조차 묵과 된다면 이 끔찍한 본 모습은 다시 고개를 쳐들 것이다. '관련자는 단연코 엄벌하겠다'라고 말하며 등을 보이는 그의 모습을 또 다시 지켜보면서.

 

 

 

 

 

반응형

댓글